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주식] 주린이를 위한 주식공부(단타, 기술적 분석)

by 노멀이 2024. 1. 25.
반응형
반응형

요즘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직장만 다니는 것으로는 갈수록 경제적으로 부족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지금보다 더 나은 경제력을 갖추기 위해 직장을 그만두고 보다 더 고소득을 얻기 위한 도전을 하기도 하고 부업을 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직장인들에게 있어 월급 외에 수익을 더 벌어들일 만한 것 중 접근성이 가장 좋은 것은 주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주린이 주식공부 썸네일

 

주식 시작하기(feat. 단타)


주식은 누구라도 증권사 계좌를 만들기만 하면 시작할 수 있고 적은 금액으로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접근성이 굉장히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막상 주식을 시작하고 보면 무슨 종목을 사야 할지부터 언제 사서 언제 팔아야 할지 생각할 것들이 많아집니다.

 

나름의 근거를 가지고 매수를 하지만 이게 오를 것인지 떨어질 것인지 또 오른다면 언제 일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투자하는 입장에서 큰 수익이 난다고 할 지라도 오르는데 까지 기다린 시간이 길다면 그다지 효율적인 방식의 투자는 아닐 것입니다. 효율을 생각한다면 오히려 수익금은 덜 하더라도 회전율을 높여 자주 매매하는 방식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주가를 움직이는 요인에는 그 회사의 가치와 실적뿐만 아니라 수많은 상황과 외부 변수들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를것이라고 기대한 주식이 떨어지거나 생각지도 않던 종목이 갑자기 오르는 상황들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종목이 떨어지는 데 그중에 오르는 종목들이 있습니다. 이점을 이용하면 단타로 매일 수익을 낼 수도 있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이런 이유들 때문에 자본금이 적은 개인들은 효율적인 투자를 위해서라도 단타를 시도해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단타 기술적 분석(지지와 저항)


전통적인 기술적 지표에는 지지와 저항이 있습니다. 주식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우리가 보는 차트를 그려나갑니다. 차트를 보면 상승하다 하락하는 부분에서 꼭짓점(고점)이 형성되고 이 꼭짓점을 수평으로 연결한 선이 저항선이 됩니다. 저항선은 주가가 이 가격대에서 저항을 받아 하락으로 전환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저항선에 고점이 많을수록 이 가격대 위로 올라갈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저항선은 매도의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하락하던 주가가 상승으로 전환되는 부분에 생기는 꼭짓점을 저점이라고 하며, 저점들을 수평으로 연결한 선은 지지선이 됩니다. 지지선은 주가가 이 가격대에서 지지를 받아 상승으로 전환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지지선에 저점이 여러 개 있을수록 지지의 힘이 더 커지기 때문에 매수의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비슷한 가격대에서 반복적으로 지지와 저항을 받는다면 이 종목의 주가는 사각형 안에 갇혀있는 흐름을 형성하고 이것을 박스권이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박스권을 형성할 때는 지지선에서 사서 저항선에서 파는 것으로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단타 기술적 분석(이동평균선)


이동평균선은 일정기간 동안 종가의 평균값을 선으로 나타낸 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은 여러가지 지표 중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그래서 차트를 확인하면 내가 설정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5, 10, 20, 60, 120일선을 보여줍니다.

 

5일선은 최근 5일간의 종가의 평균값을 연결한 선입니다. 마찬가지로 10일, 20일, 60일, 120일선은 해당 기간에 대한 종가의 평균값 연결선입니다. 보통은 5, 10, 20일선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데 이것은 본인이 설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에 본인의 특별한 기준이 있다면 차트 화면에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단타는 짧은 기간에 매수와 매도를 반복하기 때문에 단타에서는 5일선을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이동평균선과 주가 사이의 간격을 이격이라고 부르는데, 이동평균선과 주가는 이격이 커지면 서로 가까워지려 하고 이격이 너무 줄어들면 다시 벌어지려는 속성이 있습니다. 이점을 이용하면 이동평균선을 지지선으로 활용할 수가 있습니다. 차트에서 이격이 많이 줄었다면 지지를 받는 것으로 보고 매수를 하고, 이격이 많이 생겼다면 매도를 하는 방식입니다.

 

 

5일선이 20일선 아래에 있다가 상승하며 20일선을 돌파하는 것을 골든 크로스라고 부릅니다. 이때는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매수 포인트로 활용됩니다. 반대로 위에 있던 5일선이 20일선을 향해 하향하여 20일선을 이탈해 내려가는 것을 데드 크로스라고 합니다. 이때는 매도 포인트로 활용됩니다.

 

주식은 접근성은 좋지만 잘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공부와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에게는 정말 기본적이고 당연한 내용라고 생각될지도 모르지만 주식을 처음 시작하거나 전혀 공부를 해보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글을 읽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