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애드센스 광고 승인, ads.txt)

by 노멀이 2024. 1. 15.
반응형
반응형

 

애드센스 승인 ads 썸네일

 

티스토리 혹은 워드프레스로 수익을 만들고자 노력하시는 분들이라면 제일 첫 발걸음은 애드센스 승인을 받는 것입니다.

애드센스 광고 승인이 되셨다면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블로그 운영에 대한 다양한 것들을 말씀드렸는데 오늘은 애드센스 광고 승인까지의 과정과 ads.txt에 대해 말해보려고 합니다.

 

 

 

애드센스 광고 승인

처음 블로그를 개설하고 글을 한 두개 쓰고 나면 나도 이제 곧 블로그로 한 달에 100만원은 벌겠구나 하며 들뜬 기분에 사로잡히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기다려도 애드센스 광고 승인이 날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심지어 구글 애드센스에 들어가 보니 빨간색으로 '주의필요'가 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도무지 알 수가 없어 찾아보면 누구는 바로 다음날 됐다 하고 또 누군가는 좀 늦어서 2주는 걸렸다고 얘기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광고 승인은 구글 로봇이 판단하기 때문에 승인이 나는 기간은 저마다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누군가는 운이 좋게 바로 승인이 나는 반면 누군가는 매번 주의 필요가 나옵니다.

 

그런데 3번이상 주의 필요가 뜬다고 하면 본인이 게시한 글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계속 승인이 거절되는 것은 어딘가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살펴보면 의외로 그 문제는 정말 간단하고 단순한 데에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먼저 꾸준히 포스팅을 해왔는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1일 1포스팅까지는 아니어도 주 당 3 ~ 4개의 포스팅을 해주셔야지 구글 로봇이 판단하기에는 열심히 활동하려고 하는구나 하고 광고 승인을 해줍니다.

 

그리고 블로그에 게시한 글 수가 20개 정도는 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우에 따라 글 10개만 게시하고도 승인이 날 때도 있지만 그런 경우는 정말 운이 좋은 케이스라고 생각됩니다.

어느 정도 게시한 글의 양이 쌓여 있어야 구글에서는 광고 승인을 잘해줍니다.

 

다음으로는 포스팅한 글의 품질에 대해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포스팅한 글의 내용이 너무 적지는 않은지, 이해하기 어렵게 문단 구분 없이 너무 이어서 쓰지는 않았는지, 소제목과 내용을 잘 구분되게 썼는지 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전에 구글이 좋아하는 글에 대해 말씀드린 적이 있는데, 구글은 SEO적으로 속도를 굉장히 중요시하고 텍스트 기반의 글을 좋아합니다.

글자수는 얼마 되지도 않고 그림만 잔뜩 있는 글을 포스팅해 왔다면 앞으로도 광고 승인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함께 보기 좋은 글 : 티스토리 애드센스 승인(feat. 구글이 좋아하는 글쓰기)

 

티스토리 애드센스 승인(feat. 구글이 좋아하는 글쓰기)

수익화 블로그를 만들기 위해서는 블로그 글에 광고가 달려야 합니다. 게재할 수 있는 광고는 네이버블로그의 경우 에드포스트가 있고 티스토리의 경우는 에드핏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익화 블

normaldiary.tistory.com

 

 

 

애드센스 Ads.txt

메일을 확인했더니 드디어 애드센스 승인 났다고 합니다!

너무 기쁜 마음으로 구글 애드센스에 들어가 봤더니 매우 당혹스러운 빨간색 알람이 떠 있습니다.

"수익 손실 위험 -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어렵게 애드센스 승인이 됐는데 수익 손실 위험이라니!!

이제 애드센스 승인까지 완료되었으니 꾸준히 글쓰기만 잘하면 이제 나도 블로그로 돈 벌 수 있겠구나 했는데 수익 손실 위험이라니 당혹스러우실 겁니다.

 

처음에 블로그를 만드실 때 티스토리 도메인을 그대로 사용하셨다면 아래 사진처럼 해당 사항 없음으로 나오실 겁니다.

하지만 티스토리 도메인을 변경하기 위하여 가비아 등을 통해서 바꾸셨다면 지금 말씀드리고 있는 경고 알림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런데 걱정하실 필요는 하나도 없습니다.

무섭게 경고 알람이 떴지만 가만히 두면 사라지기도 하고 광고 수익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찝찝해서 바로 처리해야겠다고 하시는 분들은 아래에 설명드리는 방법대로 따라해 주시면 간단히 해결 가능 합니다.

 

우선 애드센스에 로그인하신 후 왼쪽 사이트 메뉴를 누르시면 블로그 URL이 나오게 됩니다.

해당 URL을 클릭하고 들어가면 ads.txt 관련해서 복사하기 버튼이 있는데 복사하기를 클릭해 줍니다.

 

메모장을 켜서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기하고 ads.txt로 저장합니다.

다음으로 티스토리 관리 페이지에 들어가 스킨 편집 > html 편집 > 파일업로드로 들어가 줍니다.

아래에 추가 버튼을 눌러 저장한 ads.txt를 넣고 적용하는 것으로 마무리됩니다.

 

참고로 워드프레스를 운영 중이시라면 같은 방법으로 ads.txt 복사하기 후에 ads.txt Manager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적용해 주시면 됩니다.

 

티스토리 : [애드센스에서 ads.txt 복사하여 저장 > 스킨 편집 > html 편집 > 파일업로드]

워드프레스 : [애드센스에서 ads.txt 복사 > ads.txt Manager 플러그인 사용(설정 - ads.txt - 붙여넣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