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주린이에게 주식 용어들은 너무 생소하고 전문적으로 보여 어렵기만 합니다. 주린이를 위한 주식공부로 어려워 보이는 주식 용어들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 알려드릴 것은 시가총액과 우선주, 보통주에 대한 것입니다.
시가총액이란 무엇일까요?
주식을 하게 되면 매일 주가를 보며 주가가 오르면 기뻐하고 하락하면 절망합니다. 이때 주가가 오르고 내리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기업이 시장에서 얼마만큼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지는 무엇으로 확인할 수 있을까요? 주가가 높은 기업일수록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것일까요? 그렇다면 주가가 20만원인 기업은 주가가 10만원인 기업보다 2배 더 가치 있는 것일까요?
주가로만 따진다면 삼성전자는 7만 5천원대이고 SK하이닉스는 15만원으로 2배 더 비싸기 때문에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보다 2배 더 크고 가치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의 가치는 주가가 아닌 시가총액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그 기업의 크기를 의미하며, 현재 주가에 그 기업의 총 주식수를 곱한 것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네이버에 검색하여 손쉽게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네이버에 삼성전자를 검색하면 현재 주가는 75,200원이고 시가총액은 448조 9,276억원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2024년 2월 13일 종가 기준)
반면에 SK하이닉스의 주가는 15만원이고 시가총액은 109조 2,004억원으로 삼성전자의 1/4 정도에 해당합니다.(2024년 2월 13일 종가 기준)
우선주와 보통주
종목 검색으로 현대차를 검색하면 현대차, 현대차우, 현대차2우B, 현대차3우B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먼저 간단히 말씀드리면 여기에서 현대차는 보통주에 해당하고 '우'가 붙어 있는 주식은 우선주에 해당됩니다.
보통주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기업 운영에 대한 의결권을 행사하며 배당도 받는 등 주주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주식을 뜻합니다. 반면에 우선주는 보통주와는 다르게 기업 경영에 참여할 수 없는, 권리가 제한된 특수한 주식입니다.
우선주는 권리를 잃어버려 안좋은 주식 같아 보이지만 특별한 점은 배당에 있습니다.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배당에 있어 우선적 지위가 인정되는 주식으로 보통주보다 많은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경영에는 관심이 없고 배당 위주의 투자를 한다면 오히려 좋은 주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는 알겠는데 같이 붙어 있는 숫자와 B는 무엇인지 궁금하실 것입니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우선주의 종류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우선주는 1996년 이전에 발행된 구형 우선주와 그 이후에 발행된 신형 우선주가 있습니다. 그리고 전환우선주라는 것도 있습니다.
구형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높은 배당을 보장해주는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신형 우선주는 채권의 성격이 들어가 있어 배당 자체를 보장해줍니다. 때문에 그 해에 배당을 못 주는 경우가 발생하면 다음 해에 지급하지 못했던 배당금을 합산하여 주는 것으로 배당을 보장해 줍니다.
우선주의 숫자는 몇번째로 발행된 우선주인지 나타내며 B는 신형 우선주의 채권을 의미하는 Bond의 B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현대차2B는 두번째 발행한 우선주를 뜻하고, 현대차3B는 세번째 발행한 우선주를 뜻합니다.
전환우선주는 종목명 뒤에 '전환'이라는 글자가 붙습니다. 전환우선주는 일정기간 후에 보통주로 전환 될 권리가 부여된 주식을 뜻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주린이를 위한 주식공부(한국 주식과 미국 기업) (1) | 2024.02.06 |
---|---|
[주식] 주린이를 위한 주식공부(체결창) (0) | 2024.02.01 |
[주식] 주린이를 위한 주식공부(호가창 분석) (0) | 2024.01.31 |
[주식] 주린이를 위한 주식공부(거래랑, 추세선) (1) | 2024.01.30 |
[주식] 주린이를 위한 주식공부(볼린저밴드, 엔벨로프) (1) | 2024.01.27 |